가지

가지의 특성
- 고온성 작물로 생육적온이 22~23℃ 이며 15℃ 이하에서는 생육이 곤란하다.
- 개화 및 과실의 발육중 20℃ 이하가 되면 수정이 잘되지 않으며 과실의 발육도 나빠진다.
- 조숙재배의 경우 첫 꽃의 낙화현상은 대부분 저온에서 기인하며 비료부족과 광투과율 저하에서도 일부 나타난다.
설치 권장 필름
시설의형태 | 시설내용도 | 권장제품 | 권장두께 | 권장내용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단동.연동 | 외피 | 다복, 레드죤 | 0.08~0.10 | 인장력,무적,방무,광투과율 양호 | |
단동.연동 | 외피 | 보광 | 0.08~0.10 | 인장력,투광성 양호 | |
단동.연동 | 외피 | 삼중EVA | 0.08~0.10 | 인장력, 투광성 양호 | |
단동.연동 | 내피 | 삼중EVA | 0.05~0.07 | 보온,방무,무적 양호 | |
단동.연동 | 내피 | 보광 | 0.06~0.08 | 보온,방무,무적 양호 |
가지의 육묘관리 일정
가지는 6월에서 10월까지 계속 수확되지만 겨울철의 수요가 적기 때문에 작형의 분화발달이 뒤떨어져 있다. 그러나 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 보온이 잘 되는 하우스를 이용하면 촉성재배 및 반촉성재배, 억제재배를 할 수 있다
작형 | 파종기 | 수확기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촉성재배 | 8~9월 | 12~5월 | 남부의 따뜻한 지방 | |
반촉성재배 | 12~1월 | 4~6월 | 남부의 따뜻한 지방 | |
조숙재배 | 2~3월 | 6~10월 | 도시근교 | |
보통재배 | 4~5월 | 7~10월 | 전국 |
하우스 온도관리
- 하우스내에서는 정식후 2~3일간 활착 할때까지는 밀폐시키고 2중터널내의 온도를 26℃로 유지한다. 활착 후 30℃ 이상으로 되면 환기를 시킨다.
- 맑은 날은 물을 주는데 물주기전이나 비오기 전날 약제살포를 하면 병의 발생이 적다.
- 하우스내의 야간 기온이 13℃ 이하로 되면 터널위를 거적으로 덮거나 3중터널을 한다.
- 멀칭은 투명멀칭을 하는 편이 초기 지온을 높이고 보수력도 좋게 한다.
- 재배하우스를 밀폐하면 과습하기 쉬워 잿빛곰팡이병(灰色懲病, 회색곰팡이병)의 발생이 많아지므로 낮 동안엔 충분히 환기를 시키고, 약제 살포를 한다.
가지의 특성
- 고온성 작물로 생육적온이 22~23℃ 이며 15℃ 이하에서는 생육이 곤란하다.
- 개화 및 과실의 발육중 20℃ 이하가 되면 수정이 잘되지 않으며 과실의 발육도 나빠진다.
- 조숙재배의 경우 첫 꽃의 낙화현상은 대부분 저온에서 기인하며 비료부족과 광투과율 저하에서도 일부 나타난다.
설치 권장 필름
시설의형태 | 시설내용도 | 권장제품 | 권장두께 | 권장내용 | |
---|---|---|---|---|---|
단동.연동 | 외피 | 다복, 레드죤 | 0.08~0.10 | 인장력,무적,방무,광투과율 양호 | |
단동.연동 | 외피 | 보광 | 0.08~0.10 | 인장력,투광성 양호 | |
단동.연동 | 외피 | 삼중EVA | 0.08~0.10 | 인장력, 투광성 양호 | |
단동.연동 | 내피 | 삼중EVA | 0.05~0.07 | 보온,방무,무적 양호 | |
단동.연동 | 내피 | 보광 | 0.06~0.08 | 보온,방무,무적 양호 |
가지의 육묘관리 일정
가지는 6월에서 10월까지 계속 수확되지만 겨울철의 수요가 적기 때문에 작형의 분화발달이 뒤떨어져 있다. 그러나 남부의 따뜻한 지역에서 보온이 잘 되는 하우스를 이용하면 촉성재배 및 반촉성재배, 억제재배를 할 수 있다
작형 | 파종기 | 수확기 | 비고 | |
---|---|---|---|---|
촉성재배 | 8~9월 | 12~5월 | 남부의 따뜻한 지방 | |
반촉성재배 | 12~1월 | 4~6월 | 남부의 따뜻한 지방 | |
조숙재배 | 2~3월 | 6~10월 | 도시근교 | |
보통재배 | 4~5월 | 7~10월 | 전국 |
하우스 온도관리
- 하우스내에서는 정식후 2~3일간 활착 할때까지는 밀폐시키고 2중터널내의 온도를 26℃로 유지한다. 활착 후 30℃ 이상으로 되면 환기를 시킨다.
- 맑은 날은 물을 주는데 물주기전이나 비오기 전날 약제살포를 하면 병의 발생이 적다.
- 하우스내의 야간 기온이 13℃ 이하로 되면 터널위를 거적으로 덮거나 3중터널을 한다.
- 멀칭은 투명멀칭을 하는 편이 초기 지온을 높이고 보수력도 좋게 한다.
- 재배하우스를 밀폐하면 과습하기 쉬워 잿빛곰팡이병(灰色懲病, 회색곰팡이병)의 발생이 많아지므로 낮 동안엔 충분히 환기를 시키고, 약제 살포를 한다.